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총정리

by 송송정보통123 2025. 6. 11.
반응형

 

 

 

국내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총정리|쉽게 이해하는 2025년 기준

 

 

주식으로 수익을 보면 “이거 세금 내야 하나?” 고민되죠?


사실 모든 주식 수익이 세금 대상은 아닙니다.


특정한 경우에만 ‘양도소득세’를 내야 하는데요,

 

지금부터 누가 신고해야 하고, 언제, 어떻게 신고하는지 아주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양도소득세란 뭐예요?

 

주식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팔면 **차익(수익)**이 생기잖아요?
그 수익에 대해 **내는 세금이 ‘양도소득세’**예요.

 


 

2. 누구한테 세금이 나오나요?

 

👉 대부분의 일반 투자자는 세금 안 냅니다.

 

다만 아래에 해당되면 신고하고 세금 내야 해요:

 

  1. 대주주
    • 한 종목을 시가총액 50억 원 이상 갖고 있거나
    • 지분율이 1~4% 이상인 경우 (코스피 1%, 코스닥 2% 등)
  2. 장외거래나 비상장 주식을 팔았을 때
    • 상장주식도 장외에서 거래하면 과세 대상입니다.

 


3. 세금 얼마나 내야 하나요?

 

  • 기본 세율: 20%
  • 양도차익이 3억 원 초과 → 초과분은 25%
  • 지방세까지 포함하면 총 22~27.5%

 

 

💡 단, 매년 250만 원까지는 공제돼요!


예: 수익이 1,000만 원이면 750만 원에만 세금 붙음

 

 


 

4. 언제 신고하나요?

 

✅ 예정신고:

  • 1~6월 수익 → 7~8월
  • 7~12월 수익 → 다음 해 1~2월

 

✅ 확정신고:

  • 1년치 총합을 다음 해 5월에 신고
    (5월 1일 ~ 5월 31일)

 

→ 예정신고는 선택이지만, 비상장 주식은 반드시 해야 할 수도 있어요!

 


5. 어떻게 신고하나요?

 

  1. 국세청 홈택스 접속 (www.hometax.go.kr
  2. [양도소득세 신고] 메뉴 클릭
  3. 주식 매도 날짜, 가격, 수수료 등 입력
  4. 자동으로 세금 계산됨 → 바로 납부 가능!

 

 

 

 

📌 필요한 서류: 매매 계약서, 거래명세서, 수수료 영수증 등

 

 


 

6. 꼭 알아야 할 꿀팁!

 

 

  • 수익 250만 원 이하면 세금 없어요 (1년에 한 번 적용)
  • 취득가액, 수수료 정확히 입력해야 세금 줄어듭니다
  • 신고 안 하면? → 가산세 붙어요 (최대 20% 이상)
  • 모르면 세무사 도움받기도 방법이에요

 


7. 자주 묻는 질문

 

 

Q. 그냥 증권사에서 주식 샀다 팔았는데도 세금 내야 하나요?
아니요. 대주주가 아니면 장내거래는 과세 대상 아님!

Q. 장외에서 친구랑 거래했는데요?
과세 대상입니다. 꼭 신고하셔야 해요.

Q.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무신고 가산세 최대 20%, 이자도 붙어요 😢

 


 

 

마무리|신고 대상만 정확히 알면 어렵지 않아요!

 

대부분의 투자자에게는 양도세 신고할 일 없어요.


하지만 비상장 주식, 장외 거래, 대주주라면 꼭 체크하세요.

 

👉 매년 5월에 한 번만 확인하면 안심!


👉 국세청 홈택스에서 양도세 계산기도 써보세요!

 

양도세 계산기 바로가기

 

 

 

 

 

 

자녀장려금 신청자격 총정리

자녀장려금 신청자격 총정리|2025년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2025년 자녀장려금 신청 시즌이 다가왔습니다. 매년 5월은 정부에서 진행하는 장려금 신청의 핵심 시기인데요, 특히 자녀장려금은 자녀

rarirari066.tistory.com

 

 

기초연금 수급자격 총정리

기초연금 수급자격 총정리|2025년 최신 기준으로 확인하세요! 기초연금은 대한민국 만 65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지급되는 대표적인 복지 혜택입니다. 나이가 들어 소득이 줄어드는 노년기에 안

rarirari066.tistory.com

 

반응형